그저 무턱대고 뉴스에서 현장을 누빈 카메라 기자 이름을 삭제한 게 아니었다. 기자들에게서 그냥 마이크를 빼앗았던 게 아니었다. 뭔가 있을 것이라고 여겼지만, 설마 이토록 꼼꼼하게 블랙리스트를 작성해놨으리라고는 믿고 싶지는 않았다. 역시 그 정권에 그 나팔수이다.
이른바 ‘이명박근혜’ 정권에서, MBC가 불편부당한 뉴스를 보도해야 하는 소명을 망각하고 권력자 입안의 혀처럼 굴었던 이유를 둘러싼 궁금증이 해소됐다. 끝없는 부당 징계와 인사 불이익의 뿌리가 나온 것이다. 기자들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경영진에 대한 충성도로 분류해 평가하고 일을 부여했다.
기자의 출신과 지난 파업에 가담했는지 여부야 쉽사리 판단할 수 있는 문제라고 하더라도 기자의 성향, 노조와의 친소관계까지 판단했다면, 어떤 활동에 의해서 만들어졌을까. 블랙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사찰 수준의 감시가 이뤄진 건 아닐까. 회유 가능성을 따졌다는 것은 끊임없이 차별적 처우를 통해 노동조합 와해를 시도했거나 계획했다는 반증이다.
블랙리스트가 작성됐던 시기는 김장겸 사장이 보도국장을 했던 때이다. 어디 카메라기자 뿐이었겠는가? 기자와 PD,아나운서 등 해고와 징계, 전보로 얼룩진 지난 두 정권 아래 MBC의 신뢰도가 왜 몰락했는지, 왜 시청자인 국민들로부터 외면 받게 됐는지 우리는 다시 한 번 알게 됐다.
우리는 지난 겨울, 블랙리스트를 작성하고 문화예술인을 탄압한 적폐가 드러나 험한 꼴을 봤던 저급하고 악랄했던 위정자들을 기억한다. 법정에 선 그들 중 누구도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고 인정하지 않았다. MBC 경영진이 ‘블랙리스트’를 정체불명의 유령문건이라고 펄쩍 뛰는 걸 보며 기시감이 드는 건 과연 우리 뿐인가.
이게 정녕 공영방송인가? 김장겸 사장을 포함한 현 MBC 경영진들은 도대체 어느 시대를 살고 있는가?
MBC 경영진들은 또 법적책임을 운운한다. 그렇다. 법대로 하자. MBC뉴스가 바로 서고 MBC가 재건되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은 블랙리스트 작성자와 관여자 전체를 단죄하는 데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등 정부도 더 이상 MBC를 방치하지 말라. 우리의 간절한 외침을 더 이상 외면하지 말아 달라. MBC블랙리스트의 진실을 신속하게 밝혀라. 공영방송을 망가트리고 있는 자들이 누구인지 밝혀라. 그리고 반드시 책임을 물어라.
2017.08.09
전국MBC 기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