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에서 ‘진실’을 도려내라는 지시가 서슴없이 자행되고, 그것이 ‘정당한 업무 지시’로 포장된다.
인터뷰 조작이 의심되는 사안에 대한 합리적 문제 제기를 도리어 ‘정보 유출’이라며 몰아세운다.
우리 뉴스를 돌아보자는, 무너진 신뢰를 되살려보자는 막내들의 호소는 ‘해사 행위’라는 낙인이 찍혀 돌아온다.
보도지침과 검열이 횡행하던 군사독재시절 언론사의 얘기인가. 아니다.
‘공영방송’이라고 자처하는 MBC에서 현재 벌어지고 있는 ‘비상식’과 ‘안면몰수’의 단편들이다.
가깝게는 지난 대선부터 국정 농단 사태와 촛불 집회, 세월호 참사로 거슬러 올라가기까지 MBC 뉴스가 줄곧 바라봐 온 건 ‘살아있는 권력’, 그 한 곳이었다.
그 과정에서 토론과 비판은 일방통행과 상명하달로 대체됐으며
다른 목소리를 내는 기자들은 마이크를 빼앗기거나 보도국 밖 어딘가로 쫓겨나야했다.
창의성이 살아 숨쉬던 우리의 일터는 징계와 겁박이 일상화된 비민주적 조직으로 퇴행했으며,
뉴스는 특정 집단과 세력을 비호하기 위한 ‘도구’ 쯤으로 전락해 그 존재 의의를 상실했다.
적대시하는 대상을 향한 왜곡된 주장과 경영진의 일방적 입장마저 기사의 탈을 쓰고 버젓이 내걸리는 지금의 ‘사유화된 뉴스’는 사회적 공기(公器)라기보다 흉기(凶器)에 가깝다.
지난 수년간 시나브로 진행된 이 몰락의 중심에 김장겸 사장이 있다.
정권과 권력에 대한 ‘눈치보기’가 더 노골화될수록,
뉴스 신뢰도와 영향력이 바닥을 향해 곤두박질칠수록,
김 사장은 도리어 영전을 거듭해 지금의 자리까지 올라왔다.
MBC를 ‘국민의 품’에서 떼어내 ‘정권의 품’에 안긴 대가로 김 사장과 그 하수인들이 ‘간부 놀음’에 취해있는 사이, 우리 기자들은 시민들의 조롱과 비아냥을 들으며 취재 현장에서 매맞고 쫓겨나는 지경에 이르렀다. 왜 이번에도 부끄러움은 우리의 몫이 되어야 하는가.
김장겸 사장에게 요구한다. 즉각 퇴진하라.
그것이 처참하게 망가진 일터를 다시 정상으로 되돌리고
공영방송의 제 역할을 복원하기 위한 첫 단추이다. 책임 규명과 쇄신의 출발선이다.
국민의 품으로 되돌려놔야 할 MBC에 당신이 설 자리는 남아있지 않다.
MBC의 주인은 누구인가.
눈과 귀를 막은 채 이 질문에 대해 끝내 엉뚱한 답으로 일관한 자들의 마지막은 하나같이 초라하고 비참했다. 당신도, 예외가될 수는 없다.
2017년 6월 5일
<39기 박주린 박주일 이용주 이지선 임소정 임현주 현기택 오해정 전동혁 나윤숙 남재현 정동훈 신정연>